반응형

백조가 좋아하는 화가의 그림세계 19

프리다 칼로의 생애와 작품세계

프리다 칼로의 생애와 작품세계  멕시코를 대표하는 초현실주의 화가이자 페미니스트들의 우상인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54)는 멕시코의 한촌 코요아칸에서 태어났다. 그녀가 태어난 1910년대의 멕시코에는 민중적 각성에 의한 농민봉기, 노동자 파업, 지식인의 무장투쟁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다가올 러시아혁명을 예고하는 최초의 사회혁명이 여기에서 일어났다.  디에고와 결혼 사진(1929)   이런 사회적 환경 속에서 성장한 프리다는 21세 되던 해에 운명적 사랑인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 1886~1957)를 만났다. 천재 벽화화가이자 열렬한 사회주의자며 호색한인 디에고와의 결혼은 ‘코끼리와 비둘기의 결합’만큼이나 어울리지 않는다는 당대의 평가를 받았다. 평생에 걸쳐 여러 번..

좋아하는 마그리트의 그림 세계

좋아하는 마그리트의 그림 세계  2006. 10. 6.  벨기에 출신의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1898~1967)는 익숙한 우리의 감각을 뒤집고 관습을 거부하며 실제의 세계를 시험하기 위해 한 평생을 보냈다. 그는 자신의 철학적 창의성을 회화속에 표명함으로서 '어떤 불가능한 일이라도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려 애썼다. 그리하여 화가라는 이름을 거부하며 자신은 다른 사람들이 음악이나 글로 생각을 나누듯이 회화를 통해 사람들과 생각을 교류하려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젊은 시절 마그리트 노년의 마그리트  그에게 회화란 현상세계를 넘어서는 '메타 리얼리티'를 불러일으키는 수단이자 존재의 평범함에 대항하는 영원한 반항정신의 전달체였다. 그럼에도 다른 초현실주의자들과는 달리 비현실적이고 터무니 없는 대상 ..

마우리츠 에셔(1898-1972)의 작품세계

마우리츠 에셔(1898-1972)의 작품세계  2006. 9. 28 네덜란드 출신 판화가인 에셔는 동물, 새, 물고기들을 반복적으로 대칭 배열하여 일정 단위로 반복되는 패턴 구도를 사용함으로서 이 세상이 보이는 것 그대로 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평면적인 패턴과 명확한 3차원적 질감 사이의 모호한 시각적 환영을 통해 현실은 긍정되는 동시에 부정되며 객관화되는 동시에 상대화됨을 그의 작품들은 확연히 보여준다. 그리하여 1944년 경부터 그의 작품은 시각적 비현실성을 보여주는 초현실주의적 색채를 띄게 된다.  작품에 몰두하는 에셔근접 초상 초기의 평론가들과 관객들은 그의 작품세계가 차가운 분위기와 팽팽하게 긴장된 생소함으로 가득 차 있다고 여겨 어느 정도 거리를 두었다. 그의 작픔들에서는 빛과 ..

클림트가 추구한 여성상 '팜므 파탈'

클림트가 추구한 여성상 '팜므 파탈'  오스트리아 출신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1862~1918)는 신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화가였다. 그의 표현주의에는 고대와 현대를 연결하는 고리가 있어 이것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는 고대 신화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필요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1900년대 초반 유행했던 아르 누보와 상징주의 영향을 받아 황금 빛의 화려한 화면과 풍부한 장식성을 추구함으로서 신비스러운 관능적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탁월해 다양한 비전문적 애호층이 생겨났다.  클림트에게서 여성 누드는 성적 대상이라기보다 자신이 추구하는 회화적 표현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수단이었다. 그에게 누드는 자유와 평화의 여신을 의미했고, 대상을 이상화하고 미화한 에로스 그 자체였다. 조금 더 나아가 ..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그림 세계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그림 세계   작성자:김재민2006. 8. 30 렘브란트와 함께 가장 위대한 네덜란드 화가로 인정받고 있는 빈센트 반 고흐는 현대미술사의 표현주의 흐름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불과 1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제작된 그의 작품들은 강렬한 색채, 거친 붓놀림, 뚜렷한 윤곽을 지닌 형태를 통하여 그를 자살까지 몰고 간 정신병의 고통을 인상깊게 전달하고 있다. 그의 걸작으로는 수많은 자화상과 〈별이 빛나는 밤>, , , ,  등이 있다. 생애의 마지막 3년 동안 제작한 작품들만으로 고흐는 근대미술사에서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그의 그림에서는 모든 것이 살아 꿈틀거리는 것처럼 보인다. 그의 작품은 많은 현대회화의 발전, 특히 독일 표현주의 화가들에게..

카스파 프리드리히(1774~1840)의 그림 세계

카스파 프리드리히(1774~1840)의 그림 세계  2006. 9.21 스페인에 고야, 프랑스에 들라크루아가 있다면, 독일 낭만주의를 개척한 화가는 바로 카스파 다비트 프리드리히(Casper. D. Friedrich)였다.  "세속적인 것에 고결한 의미를, 일상에 신비스러운 외양을, 이미 알고 있는 것에 진기한 특징을, 유한에 무한의 외관을 부여하는 것"이 곧 낭만주의라는 노발리스의 정의를 프리드리히만큼 충실히 따른 미술가는 없다. 그의 작품의 주된 주제는 인간의 고독과 자연의 황량한 아름다움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자연의 힘 앞에 선 인간의 무력함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풍경화를 주로 그렸다.   C. 프리드리히의 자화상(1810)프리드리히의 작품을 관통하는 커다란 지류는 두 가지다. 우선, 그의 작품에는 ..

반응형